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여세 계산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을 타인에게 물려줄때 내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타인이라 함은 자신의 부모나 배우자, 자녀도 예외없이 적용됩니다.
다만 가족에게 증여를 할 경우에는 어느정도의 범위 내에서 면제될 수 있습니다.
배우자에게 증여할 경우 6억원까지 공제가 되며, 자녀의 경우 5천만원까지 공제됩니다.
부모에게 증여할 경우는 3천만원, 기타 친족에게 증여하는 경우는 5백만원까지 공제됩니다.
이 공제액은 10년 간의 누적액을 말합니다.
따라서 배우자에게 10년 동안 총 20억원을 증여했다면, 14억원 만큼의 금액에 대해서 증여세를 책정한다는 것이 됩니다.
만약 자신이 죽은 후에 타인에게 자산을 물려주는 것을 상속이라고 하며, 이때 내는 세금을 상속세라고 하는데요.
증여세와 상속세 두 가지를 적절히 설계하셔야 효과적으로 절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증여세에 대한 설계가 중요한 이유는 세율이 많게는 50%까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30~40억 되는 빌딩을 증여한다고 했을 때 아무 생각없이 증여했다가 그 중 절반인 15억원이 세금으로 날라올 수 있습니다.
위의 설계는 개인이 하시기에는 필요한 지식과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세무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자신이 어떤 자산을 누구에게 물려줄 경우에 어느정도의 증여세가 발생할지는 전문적인 세무 지식이 없어도 충분히 계산 가능합니다.
바로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의 모의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되는데요.
홈택스 홈페이지 메인화면의 상단 우측을 보시면 '모의계산'이 있습니다.
모의계산 화면으로 넘어가면 가운데 '증여세 자동계산' 메뉴를 클릭합니다.
증여세 간편계산과 자동계산 항목이 있는데요. 대략적인 금액을 알고싶다면 간편계산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자신이 증여하려는 재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셔야 하는데요.
증여일자 및 증여자 관계, 증여재산가액 등 필요 정보를 입력하시면 증여세가 자동 계산되어 나옵니다.
지금까지 증여세 계산법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성적조회 방법 1분만에 알아보세요 (0) | 2016.11.24 |
---|---|
신한카드 포인트 사용처 한번에 알아보세요 (0) | 2016.11.23 |
진에어 수화물 규정 완벽하게 정리 3분만에 확인하세요 (0) | 2016.11.15 |
아이폰 영화넣기 쉬운 방법 알려드려요 (0) | 2016.11.11 |
수표조회 방법 총정리 (0) | 201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