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같이 무더위가 지속되는 날에 야외할동을 하다보면 땀이 금방 나서 쉽게 지치기 쉽상입니다. 

몸의 체온이 갑자기 상송하면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이 일어나기도 하는데요. 





증상이 심해지면 열사병이나 일사병을 의심해보실 수 있습니다. 




흔히들 여름에는 열사병과 일사병을 조심해야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먼저 열사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열사병은 몸에 열이 많아져서 걸리게 되는 질환인데요. 

햇빛의 직사광선의 쬐지않고도 실내에서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운 환경 속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몸의 온도가 40도 이상되어 쓰러지거나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증상을 앓게 되면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고, 급성신부전이나 성인성 쇼크가 오기도 합니다. 


열사병은 치사율이 50프로나 되기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특히 주의하셔야합니다. 





일사병은 햇빛의 직사광선을 많이 쬐서 걸리는 질환입니다.


햇빛이 내리쬐는 날에 장시간 야외에 있을 경우 머리주변이 다른부위에 비해 빠르게 열이 올라옵니다. 

37도에서 40도사이가 되면 심박수가 빨라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염분이 빠져나갑니다. 


어지럼증과 두통을 동반하며 심하면 구토와 호흡곤란이 오기도 하기 때문에 초기증상이 의심되면 

실내로 피신하셔야 합니다.


빠른 대처로 실내에 들어가서 쉬면 30분에서 1시간사이에 회복하실 수 있답니다. 



열사병과 일사병을 비교해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일사병보다는 열사병이 조금 더 심각한 질병이라고 느낄 수 있으셨지요. 

일사병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심하셔야합니다. 


일사병은 실내에서의 충분한 휴식으로 대처가능하지만 열사병은 어떻게 대처할까요?


열사병의 경우는 몸을 차갑게 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일단 열사병 의심환자가 쓰러지면 실내로 데리고가서 옷을 벗긴 뒤 찬물로 몸을 적셔주고

얼음으로 마사지를 해주셔서 체온을 낮추는 것에 주력하셔야 합니다. 

상태가 심각하다고 느낀다면 응급실에 연락을 해주세요.



이상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요즘처럼 더운날에 위의 대처법과 함께 알아두시고 응급상황에 잘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