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국 비만지도 공개 소식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11월 6일 20세 이상 성인의 체질량지수 정보 등을 바탕으로 2005년 ~ 2015년까지 빅데이터 1억3,000만건을 분석한 전국 비만지도가 발표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례가 또 하나 생긴 것인데요. 이러한 빅데이터 활용 사례가 점차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비만지도를 공개하기에 앞서 우선 비만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요.
비만이란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고도비만은 30㎏/㎡ 이상인 경우를 나타냅니다.
복부비만의 경우 허리둘레가 남성 기준 90cm 이상, 여성 기준 85cm 이상을 의미합니다.
전국 비민지도 결과를 분석해보면 비만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 제주도(42.1%)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 강원, 인천, 전남, 충남 순으로 비만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가장 낮았던 도시는 대구로 약 35.0%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어떤 지역을 보던 3명 중에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도비만환자의 경우도 제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원, 인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비만율이 가장 낮았던 곳은 서울 서초구로 약 32.1%가 나ㅏ났으며, 강남구(32.19%)와 성남시 분당구(32.22%), 경기 과천시(32.74%)도 낮게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도서산간 지역에서 비만환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대중교통이 발달되지 않은 산간지역에 살기 때문에 주로 승용차를 이용한 이동이 주를 이루어서 운동을 못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수도권에 비해서 건강에 힘쓸 여력이 안되는 것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나타났습니다.
지금까지 전국 비만지도 결과 소식 알려드렸습니다.
'자유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재난 메뉴얼 정비해서 지진 대비 실시 (0) | 2016.12.23 |
---|---|
지인이 죽는꿈 해몽 (0) | 2015.08.19 |
소띠랑잘맞는띠 알아보아요 (0) | 2015.08.14 |
[게임칼럼]업데이트에 의존한 채 완성되지 않은 게임이 발매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0) | 2015.07.19 |
[게임칼럼]RPG를 재미있게 하는 요소 (0) | 2015.07.15 |